🌈밈센터 이야기
서울시 경계선지능 청년 실태와 일경험 지원방안 연구 최종보고회 개최
|
|
|
밈센터는 지난 8월 6일(화), 「서울시 경계선지능 청년 실태와 일경험 지원방안」 연구 최종보고의 시간을 가졌다.
이번 최종보고회는 지난 4월 11일 착수보고를 시작으로 약 5개월 간 진행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연구용역을 맡은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진을 포함하여 총 16명의 학계 및 현장 전문가가 참석하였다.
연구진은 연구 결과로 국내·외 선행연구와 정책 및 제도, 지원사례 등을 분석한 결과와 서울시 경계선지능 청년의 일경험 실태 및 욕구조사 결과를 보고하였으며, 이를 반영한 경계선지능 청년 맞춤형 취업지원 모델 및 지원정책을 제안하였다.
서울시 거주 경계선지능 청년(20~35세) 50명을 대상으로 소그룹 심층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한 청년 일경험 실태 및 욕구조사 결과, 50명 중 46명이 일 경험이 있으나 이 중 29.6%가 10회 이상 잦은 이직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 표준직업분류에 따른 청년들의 일경험 직업분류를 조사한 결과, 단순노무가 55.1%로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업 17.4%, 판매업 11.6% 순으로 나타났다. 위 직종을 선택한 이유로 ‘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’이 52%, ‘채용해주는 곳이라면 어디든’이 36%로 응답하여 전공이나 적성보다는 현실에 맞춰 직업을 선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.
「서울시 경계선지능 청년 실태와 일경험 지원방안」 연구 최종보고서는 연구 종료 후 밈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.
[서울시 경계선지능 청년 실태와 일경험 지원방안」 연구는 서울시 관내의 경계선지능 청년의 특성과 일경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, 일경험에 기반한 경계선지능 청년 당사자와 보호자의 취업 및 고용 욕구조사를 통해 경계선지능 청년 맞춤형 취업지원 모델 및 일반고용시장 진입을 위한 지원정책을 발굴을 위해 추진되는 연구이다.]
|
|
|
🌈밈센터 이야기
함께 걷는 법을 알려주는 밈센터
그림&편지 : 이지영
|
|
|
밈센터에서 경계선지능 청년 일 역량 강화 및 일 경험 시범사업으로 처음 만난 이지영 님은 인턴십이 종료된 후 밈센터를 방문하는 청년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며 손수 그린 그림과 함께 편지를 전달해 주었다. |
|
|
이지영 님이 처음 센터 찾아왔을 때 어색해하며 낯 가리던 모습은 시간이 어느새 다른 청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까지도 도움을 주는 어엿한 선배의 모습으로 변모하였다.
시범사업에 참여한 이지영 님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회기가 거듭될수록 “성격이 매우 활발해진 것 같고, 감정을 좀 더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, 함께 일하면서 협동의 즐거움을 배울 수 있었다”고 하였다. 이러한 변화가 다른 청년들도 밈센터를 통해 도움을 받고 용기를 얻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 편지를 작성하기로 마음을 먹게 되었다고 하였다.
앞으로도 밈센터는 지영 님처럼 청년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자 능동적 주체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밀어주는 밈센터가 되고자 한다. |
|
|
🌈홍보
2024 하반기 밈센터 평생교육프로그램 아동.청소년 대기자 모집
|
|
|
🌈홍보
초·중학생 무료심리검사 지원(일상생활적응행척도BIF-S)
|
|
|
🌈홍보
성인(청년)을 대상으로 경계선 지적기능 선별 체크리스트 지원 |
|
|
🌈홍보
밈센터 & TBS 경계선지능인 인식개선 캠페인
"누구나 일할 수 있는 사회, 경계선지능 청년도 함께 하는 세상을 기대합니다!" |
|
|
📕강북구, 느린학습자를 위한 ‘지역사회 연대 강화’(신아일보, 2024.8.27.)
|
|
|
서울특별시 경계선지능인 평생교육 지원센터 mim@stibee.com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22 태성빌딩 4층 403호 / 02) 733-8950 수신거부 Unsubscribe |
|
|
|
|